서브상단 글자

사회법연구 발간현황

pISSN : 1738-1118

사회법연구, Vol.51 (2023)
pp.1~39

‘산업전환고용안정법’의 쟁점과 과제

정경훈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과 박사과정 수료(노동법))

이승길

(아주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노동법))

최근에 ‘기후위기에 따른 탄소중립의 요구’와 ‘디지털 기술의 고도화에 따른 디지털 경제의 가속화’는 노동시장에서 고용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이다. 이것은 산업・업종・직종・직무 등의 다양한 차원에서 변화를 가져오고, 신기술에 따 른 기존 일자리의 대체, 일하는 방식도 변화하면서 고용불안이 우려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한 법 개정은 고용정책기본법, 고용보험법 등의 노동시장법 이나 근로기준법, 노동조합법 등의 노동관계법 차원에서 다양하게 논의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법 개정을 위하여 이해관계자 간에 충분히 논의되지 않고, 다양한 논 란으로 새로운 법 제정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본고는 2023년 8월 국회에서 ‘산업전환고용안정법’을 제정하는 과정에서 주된 쟁 점 사항을 중심으로 국회의원들의 발의 법안을 비교・분석을 통해 입법 결과의 타 당성과 향후 과제를 살펴본다. 주된 쟁점 사항은 (ⅰ) 법의 목적의 내용, (ⅱ) 산업 전환・노동전환 등 새로운 법률 용어의 정의, (ⅲ) 지원대상 근로자의 범위, (ⅳ) 정 책의 결정 절차로서 사회적 대화, (ⅴ) 고용정책기본법령상 전문위원회 신설, (ⅵ) 고용영향사전평가 기관 및 고용안정 지원기관의 업무 부여방식 등을 들 수 있다. 국회에서 입법을 논의한 결과는 대체적으로 기존 법과 상충되는 내용은 제외 했다. 산업전환고용안정법을 제정해 조화로운 법체계를 구축해 그 실효성을 확 보한 것으로 평가된다. 향후의 산업전환고용안정법의 과제로는 (ⅰ) 기업의 산업 전환을 촉진하는 법과 어떻게 조화로울 수가 있는지의 문제, (ⅱ) 노사정이 법에 서 제시한 다양한 내용의 이행을 어떻게 노력해야 하는지의 문제가 있다. 산업전환 과정에서 고용안정을 위해 ‘사회적 대화’를 통해 갈등을 최소화하고, 산업전환 시대에 맞추어 노동법의 개정 등은 과제이다. 이를 위한 추가 과제로 국회와 정부의 입법・정책의 해결 방안이 남아있다.

Issues and challenges of the ‘Industrial Transition and Employment Stability Act’

Kyung-Hoon Jeong

Seung-Gil Lee

Among the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relations in the recent labor market, the most important changes are the serious ‘demand for carbon neutrality due to the climate crisis’ and ‘acceleration of the digital economy due to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se two changes bring about changes at various levels such as industry, industry, occupation, job, etc., new skills or people with new skills can replace existing jobs, and they also cause changes in working methods, leading to employment instability. is raising concerns. Discussions on legislative revision to respond to these changes can be discussed in various ways at the level of employment-related laws such as the Basic Employment Policy Act and the Employment Insurance Act, or labor-management relations such as the Labor Standards Act and the Labor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However, because the discussion on revising the existing law has not yet accumulated sufficient discussion and there are various controversies, priority has been given to new legislation. Accordingly,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validaty of the final legislative result and future tasks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bills proposed by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focusing on issues during the enactment of the ‘Industrial Transition and Employment Stability Act’ in August 2023. The main issues are (i) the content of the purpose of the law, (ii) definition of new legal terms such as industrial transition and labor transition, (iii) scope of workers eligible for support, (iv) social dialogue as a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v)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ized committee under the Basic Employment Policy Act, (ⅵ) the method of assigning tasks to agencies for prior evaluation of employment impact and employment stability support agencies, etc. The results of discussions on legislation in the National Assembly are generally evaluated as ensu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enactment of the Industrial Transition and Employment Stability Act through harmonization of the legal system by excluding content that conflicts with existing laws. The urgent remaining task in the future is how to harmonize the law to promote industrial conversion of companies and the Industrial Transition and Employment Stability Act, and economic entities such as the government and labor-management organizations to implement the contents of the various laws presented in the Industrial Transition and Employment Stabilization Act. The task of minimizing conflict through social dialogue during the industrial transition process and revising existing labor relations laws to suit the industrial transition era is also a consideration that requires continuous research. Legislative and practical solutions to this end remain as additional research topics.

Download PDF list